v.19 그런즉 율법은 무엇이냐? 범법하므로 더하여진 것이라.
천사들을 통하여 한 중보자의 손으로 베푸신 것인데
약속하신 자손이 오시기까지 있을 것이라.
v.20 그 중보자는 한편만 위한 자가 아니나 하나님은 한 분이시니라.
v.21 그러면 율법이 하나님의 약속들과 반대되는 것이냐?
결코 그럴 수 없느니라. 만일 능히 살게 하는 율법을 주셨더라면
의가 반드시 율법으로 말미암았으리라.
v.22 그러나 성경이 모든 것을 죄 아래 가두었으니 이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는 약속을 믿는 자들에게 주려함이라.
v.23 믿음이 오기 전에 우리는 율법 아래에 매인 바 되고
계시될 믿음의 때까지 갇혔느니라.
v.24 이같이 율법이 우리를 그리스도께로 인도하는 초등교사가 되어
우리로 하여금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함을 얻게 하려 함이라.
v.25 믿음이 온 후로는 우리가 초등 교사 아래에 있지 아니하도다.
갈라디아서 (Galatians) 3장19-25절
'율법의 기능과 한계'
오늘 QT 본문은 갈라디아서 3:19-29절 말씀입니다.
19-22절은 죄를 깨닫게 하는 율법에 대하여
23-25절은 그리스도께로 인도하는 윫법에 대하여
26-29절은 믿음으로 나아가게 하는 율법에 대한 말씀입니다.
사도 바울은 율법을 알고 지켜야 하고 할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율법주의자들에 대해 율법의 기능을 말해줍니다.
그는 율법이 그 자체로 나쁘기 때문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율법은 선한 것이지만 율법에는 유효기간이 있다고 말합니다.
그러면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왜 율법을 주셨는가?
율법의 기능에 대해 사도 바울은 죄를 깨닫게 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 율법의 기능은 로마서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습니다.
율법이 주어지기 전까지는 사람들이 죄가 무엇인지 알지 못했습니다.
율법이 주어진 후에야 죄가 무엇인지 알게 되었기 때문에
율법은 죄가 무엇인지를 알게 합니다. (롬 3:20, 7:7)
율법은 거룩하며 선한 것이요 필요한 것입니다. (롬 7:12)
그러나 문제는 사람이 율법을 다 지킬 수가 없기 때문에
율법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구약시대에는 율법을 어기는 경우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사 제도를 주셨습니다.
그러나 성전이 파괴된 후에는 제사를 드릴 수가 없습니다.
그런 때는 어떻게 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그 문제는 바로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을 구세주로 믿으면 해결이 됩니다.
왜냐하면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피 흘려 죽으심으로
모든 죄의 문제를 해결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약시대에는 오직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얻고
오직 믿음으로 구원에 이를 수 있습니다.
율법은 바로 이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시기 전까지 유효합니다.
율법은 죄를 깨닫게 합니다.
그리고 율법은 한계가 있기에 믿음으로 나아가게 합니다.
이것이 바로 율법의 기능입니다.
바울은 율법의 유효기간에 대해 말하면서 몽학선생 (초등 선생)을 말합니다.
그레코 로마 시대에 자녀를 가르칠 책임은 아버지에게 있었습니다.
그러나 아버지가 바빠서 자녀를 가르칠 수 없는 경우에는
자신이 데리고 있는 노예 가운데 똑똑한 사람을 구해 대신 교육을 시켰습니다.
노예가 없는 경우에는 노예를 구해서 교육을 시키게 했습니다.
이 노예에게는 비록 주인의 자녀이지만 가르치고 때리는 권한도 부여받았습니다.
그러나 이 선생에게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 한계는 주인의 자녀가 성인이 되기 전까지만 입니다.
자녀가 자라서 성인이 되고 아버지의 유업을 이을 자로 결정이 나면
그 때는 이 자녀가 노예를 다스리게 됩니다.
율법이 바로 그와 같은 한계가 있는데
그 한계는 바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시기 전까지만 유효합니다.
그러니 예수님께서 오신 이후에는 더 이상 율법 아래에서 살 필요가 없습니다.
예수님께서 오신 이후에는 오직 그 분을 구세주로 믿는 믿음으로 삽니다.
율법으로는 구원을 얻을 수가 없습니다.
그렇다고 율법을 필요가 없다는 것이 아닙니다.
예수님께서 오신 이후에는 율법은 구원을 얻기 위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믿음으로 구원을 얻은 사람이 세상과 구별하여 살기 위해 필요합니다.
오늘날 어떤 사람들은 오직 믿음으로 구원을 얻고
율법을 필요가 없으니 자기 마음대로 살아도 된다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틀렸습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율법의 완성이십니다.
예수님께서 율법이 필요없다고 말씀하지 않으셨습니다.
율법을 더 확대 해석하셨고
믿음의 사람들은 그 새로운 해석에 따라 살아야 합니다.
그래서 예수님께서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나더러 주여 주여 하는 자마다 천국에 다 들어갈 것이 아니요
다만 하늘에 계신 내 아버의 뜻대로 행하는 자라야 들어가리라' (마 7:21)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으면 모두가 다 동등합니다.
인종으로, 계층으로, 성으로 구별되는 것은 없습니다.
백인은 천국에 가고 흑인이나 황인종은 못들어갑니까?
많이 배우고 높은 권세를 쥔 사람들은 들어가고 많이 배우지 못한 사람은 못들어갑니까?
남자는 들어가고 여자는 못들어갑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하나님 나라에는 어느 인종인가, 어떤 계층의 사람인가, 어떤 성인가로 결정되지 않고
오직 믿음으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그 믿음 안에서는 모두가 평등합니다.
물론 세상에서는 그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믿음 안에서는, 교회 안에서는 주인이나 종이나 한 형제 자매가 됩니다.
남편이나 아내나 동등합니다.
더 배운 사람이나 덜 배운 사람이나, 더 높은 사람이나 낮은 사람이나 같습니다.
오히려 외적으로 약한 사람을 귀히 여기고 긍휼히 여겨야 합니다.
묵상
어떻게 의를 정의하는가?
자기 의로 판단하는 것은 아닌가?
자기 의로 천국에 가는가 아니면 심판주 되신 하나님의 판결로 가는가?
하나님 앞에서 의로운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그 기준이 말씀인데 말씀으로 자신을 비추어 보며 살아가는가?
주님께서 믿음 안에 있는 모든 사람들은 평등하다고 하셨는데 자신이 차별 하는 것은 아닌가?
그렇다면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지 않는 사람인데 그렇게 해서 하나님 앞에 당당히 서겠는가?
믿음으로 구원을 얻은 사람은 율법은, 말씀은 필요가 없는가?
거룩하라는 말씀의 의미가 바로 말씀을 따라 행하라는 것이 아닌가?
그렇다면 말씀을 알기 위해 날마다 성경을 읽고 묵상하는가?
오늘 하루, 말씀을 묵상하면서, 율법의 기능과 한계가 무엇인지를 깨닫고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을 얻었기에
은혜 안에서, 평등하게 지낼 뿐만 아니라 말씀으로 자신을 비추어
늘 거룩한 삶을 살려고 애쓰는 순종의 하루가 되시기를 축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