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12 갈리오가 아가야 총독이 되었을 때에 유대인이 일제히 일어나
바울을 대적하여 법정으로 데리고 가서
v.13 말하되 이 사람이 율법을 거기면서 하나님을 경외하라고 사람들을 권한다 하거늘
v.14 바울이 입을 열고자 할 때에 갈리오가 유대인들에게 이르되
너희 유대인들아 만일 이것이 무슨 부정한 일이나 불량한 행동이었으면
내가 너희 말을 들어주는 것이 옳거니와
v.15 만일 문제가 언어와 명칭과 너희 법에 관한 것이면
너희가 스스로 처리하라. 나는 이러한 일에 재판장 되기를 원하지 아니하노라 하고
v.16 그들을 법정에서 쫓아내니
v.17 모든 사람이 회당장 소스데네를 잡아 법정 앞에서 때리되
갈리오가 이 일에 상관하지 아니하니라.
사도행전 (Acts) 18장12-17절
‘종교적 집착과 종교적 무관심’
오늘 QT 본문은 사도행전 18:12-17절 말씀입니다.
12-13절은 고린도에서 유대인들이 바울을 고발하는 말씀이고
14-16절은 갈리오 총독의 고발에 대한 반응에 대한 말씀이고
17절은 자기 뜻대로 되지 않은 유대 율법주의자들의 행패에 대한 말씀입니다.
사도 바울은 선교 중에, 타락한 도시 고린도에서 무려 1년 6개월을 머물렀습니다.
그만큼 그 곳을 중요하게 여겼고
그만큼 그 곳은 전도하기가 쉽지 않은 곳이었습니다.
그런 곳에서도 바울의 대적은 동족인 유대인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집착하는 것은 율법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이 하나님으로부터 선택받았다는 증표가 바로 율법과 할례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을 인정하지 않고 구원을 받는다는 것은 거짓말이라는 겁니다.
그것을 인정하지 않고 하나님을 경외한다는 것은 받아들일 수가 없는 겁니다.
그러면서도 정작 자신들은 법과 정의와 관계 없이
자신들에게 이익이 되지 않고
자신들과 다르면 따라다니면서 방해하고 거짓 증언을 하고 심지어는 폭력도 서슴치 않았습니다.
그게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들이 하는 행동입니까?
유대인 율법주의자들의 고소를 접한 로마 총독은 고소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법에 관한 문제가 아니라 그들의 종교에 관한 문제라는 겁니다.
유대인들이 자기 종교에 집착하는 사람들이라면 총독은 종교에 무관심한 사람입니다.
총독의 관심사는 자신의 정치적인 생존입니다.
괜한 일에 관계되었다가 정치적 생명이 끝나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그는 유대인들의 고소를 기각했습니다.
유대 율법주의자들은 자신들의 고소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분풀이를 합니다.
그 분풀이는 회당을 책임지는 사람입니다.
그 회당장이 무슨 잘못을 했는지 모르지만 로마 총독이 보는 앞에서 때렸습니다.
그들의 모습을 본 총독이 어떤 생각을 했을까요?
유대인들에 대해 좋은 생각을 했을까요?
유대인들이 믿는 종교에 대해 좋은 생각을 했을까요?
아닐 겁니다.
그들이 아무리 하나님의 선택을 받은 사람들이라고 말하고
그들이 아무리 유일하신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들이라고 말해도 믿지 않을 겁니다.
그들은 스스로 자기 무덤을 파는 행동을 하면서도 자신들이 잘못이라는 생각을 하지 못합니다.
옳고 그름의 판단 기준이 무엇입니까?
최소한 나라가 정한 법을 따라야만 합니다.
그런데 오늘날 갈수록 법이 아니라 자신의 생각이, 자신의 이익이 기준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생각과 다르면 쉽게 비판을 합니다.
자신에게 약간의 손해만 주어도 고발을 합니다.
험담도 모함도 거짓말도 합니다.
심지어는 돈과 권력을 동원하여 법을 어기고 자신에게 유리하게 합니다.
폭력을 동원하고 더 나아가 상대방을 죽이기까지 합니다.
그러면서도 자신들은 아무런 잘못이 없는, 도덕군자인 것처럼 행세합니다.
믿음이 좋은 것처럼 행세합니다.
그러나 그런 말과 행동을 보고 사람들은 그들이 믿는 것에 관심을 갖지 않습니다.
오히려 비웃습니다.
오늘날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기독교인들이 율법주의자들과 같은 모습은 없습니까?
끼리끼리 모여 논다는 말을 듣습니다.
말은 그럴듯하게 하는데 오히려 더 썩었다는 말도 듣습니다.
교회가 싸우는 곳으로 인식이 되고 있습니다.
다른 종교에 대해 너무도 쉽게 비판을 하고 배척합니다.
대화를 하고 들어주지 않고 폭력적인 방법도 사용합니다.
그러면서도 자신들의 잘못은 깨닫지도 인정하지도 않습니다.
그러니 점점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무관심한 사람들이 늘어납니다.
편협한 유대 율법주의자들의 모습이 현대인의 모습은 아닌지,
더 나아가 기복주의적인 기독교인의 모습은 아닌지,
바로 우리 자신이 모습은 아닌지!
묵상
자신의 믿음이 진리 위에 서 있는가?
말 뿐인 믿음이 아니라 의로운 행함으로 드러나는가?
예수님 말씀처럼 세상의 빛과 소금된 삶인가?
혹시 이기적이고 폐쇄적이고 편협하다는 말을 듣지는 않는가?
다른 종교에 대한 태도는 어떤가?
기독교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거부할 뿐만 아니라 공격적인 사람에 대해 어떻게 대하는가?
자신은 어디를 가든, 정해진 룰과 법을 잘 지키는가?
모순된 말과 행동은 없는가?
자신의 말과 행동이 복음 전파는 물론이요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님과 직결됨을 아는가?
자신의 말과 행동에 책임을 지는 사람인가?
늘 손해보지 않으려고 바둥대는 삶은 아닌가?
나의 말과 행동으로 기독교에 대해 반감과 무관심을 갖게 하는 것은 아닌가?
마음에 드는 사람과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에 대해 같은 문제에 대해 차별은 없는가?
교회 안에서 자신의 뜻과 다른 지체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가?
오늘 하루, 말씀을 묵상하면서, 자신과 다른 생각이나 종교나 가지관을 가진 사람들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 돌아보고
진리와 사랑과 관용으로 대함으로 예수 그리스도와 교회에 대해 관심을 가지도록 하는
복음의 통로가 되고 빛과 소금된 삶을 사시기를 축원합니다.